맨위로가기

요 세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 세종은 요나라의 제4대 황제이다. 야율돌욕의 장남으로, 947년 영강왕에 봉해진 후, 태종의 사망으로 황위에 올랐다. 재위 기간 동안 개혁을 추진하여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했으나, 술과 사냥을 즐기고 간신을 등용하여 정치가 문란해졌다. 951년, 조카인 야율찰할에게 암살당했으며, 3년 동안 재위했다. 그는 두 명의 황후와 세 아들, 네 명의 딸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종 - 금 세종
    해릉왕 완안량의 폭정으로 옹립된 금 세종은 남송과의 관계 재정립, 거란족 반란 진압 등 내정 안정과 여진족 문화 부흥을 통해 금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어 '소요순'이라 불리며 그의 치세는 '대정의 치'로 칭송받는다.
  • 918년 출생 - 쿡트어미
    쿡트어미는 917년 곡호의 뒤를 이어 정해군 절도사가 되었으나, 유은의 교지를 거부하고 남한군에 패배하여 포로가 된 후 유은에게 사면받았다.
  • 951년 사망 - 왕연정
    왕연정은 오대십국 시대 민나라 왕족으로, 형 왕연희와의 권력 다툼 끝에 943년 은나라를 건국하여 황제가 되었으나 945년 남당에 항복하여 나라가 멸망하고 남당의 신하가 되었다가 951년 사망했다.
  • 951년 사망 - 미나모토노 히토시
    미나모토노 히토시는 헤이안 시대 전기의 귀족이자 칙찬 가인으로, 사가 천황의 증손이며 여러 지방관을 역임했고, 스자쿠 천황과 무라카미 천황 시대에 걸쳐 요직을 지냈으며, 그의 시는 여러 곳에 수록되었다.
요 세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휘 (거란 이름)우위 (Wuyu)
휘 (한자 이름)야율롼 (Yēlǜ Ruǎn)
묘호세종 (Shìzōng)
시호효화장헌황제 (Xiàohé Zhuāngxiàn Huángdì)
능묘현릉 (顯陵, 아버지와 함께; 현재의 베이전, 진저우, 랴오닝)
연호천록 (Tiānlù)
재위 기간947년 ~ 951년
출생일919년 1월 29일
사망일951년 10월 7일 (32세)
씨족야율
왕조
신분
추존 황제천수황제 (天授皇帝)
정치
정치 체제황제 (요나라)
재위947년 5월 16일 ~ 951년 10월 7일
선대 황제태종
후대 황제목종
연호천록 (天祿)
연호 기간947년 ~ 951년
가족 관계
아버지야율배
어머니소태후
배우자견황후
소살갈지

2. 생애

태조 야율아보기의 손자이자 이종가에게 살해된 동단국 왕 야율돌욕(후에 의종으로 추시)의 장남이다. 946년 숙부인 제2대 황제 태종을 따라 남하하여 후진을 공격했고, 947년 2월에 '''영강왕'''에 봉해졌다. 후진 멸망 후에도 전란이 수습되지 않아 진압에 나섰던 태종은 4월에 하북의 란성에서 붕어했다.

태종 사후, 야율완(耶律阮)은 중국 원정에 참여하여 군 지도자들의 지지를 얻었다. 수도로 돌아오는 길에 할머니인 응천황태후는 셋째 아들 야율이호를 즉위시키려 군대를 보냈으나, 거란 귀족들은 야율이호가 황위에 부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야율완을 지지했다. 요(遼) 황실의 강력한 지지로 거란족 간의 내전은 발생하지 않았다.

요 세종은 관대함과 무술 실력으로 알려졌으나, 할머니나 삼촌(야율이후)에게는 그렇지 않았다. 야율이후와 응천태후는 모두 수도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보내졌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야율이후는 반란으로, 응천 태후는 노환으로 사망했다.

951년, 요 세종은 남쪽에서 중국의 진격을 성공적으로 저지했다. 그러나 즉위 4년 만에 왕위를 찬탈하려는 황족 내부의 반란으로 조카에게 살해당했다.

요 세종은 황하에서의 전투에서 승리한 후, 국내 반대파를 억누르고 황제에 즉위했다. 9월에 대동 원년을 천록 원년으로 개원하고, 야율옥질을 기용하여 정부 개혁을 추진했다. 태종 대의 남면관과 북면관을 합쳐 남북 추밀원을 성립시키고, 남왕 및 북왕을 폐지한 뒤 추밀원에 그 기능을 합쳤다.

그러나 요 세종은 주색에 빠지고 수렵을 즐겼으며, 만년에는 간신을 등용하는 등 정치가 문란해졌다. 951년, 북한을 지원하여 후주를 공격하고 돌아오는 길에, 상고산(현재의 후허하오터)에서 태조의 동생 안단의 아들인 찰할에게 암살당했다.

2. 1. 초기 생애와 즉위 과정

태조 야율아보기의 손자이자 이종가에게 살해된 동단국 왕 야율돌욕(후에 의종으로 추시)의 장남이다. 회동 9년(946년)에 숙부인 제2대 황제 태종을 따라 남하하여 후진을 공격했고, 대동 원년(947년) 2월에 '''영강왕'''에 봉해졌다. 후진 멸망 후에도 전란이 수습되지 않아 진압에 나섰던 태종은 4월에 하북의 란성에서 붕어했다.

태종 사후, 야율완(耶律阮)은 중국 원정에 참여하여 군 지도자들의 지지를 얻었다. 수도로 돌아오는 길에 할머니인 응천황태후는 셋째 아들 야율이호를 즉위시키려 군대를 보냈으나, 거란 귀족들은 야율이호가 황위에 부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야율완을 지지했다. 요(遼) 황실의 강력한 지지로 거란족 간의 내전은 발생하지 않았다.

2. 2. 치세와 개혁

요 세종은 관대함과 무술 실력으로 알려졌으나, 할머니나 삼촌(야율이후)에게는 그렇지 않았다. 야율이후와 응천태후는 모두 수도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보내졌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야율이후는 반란으로, 응천 태후는 노환으로 사망했다.

951년, 요 세종은 남쪽에서 중국의 진격을 성공적으로 저지했다. 그러나 즉위 4년 만에 왕위를 찬탈하려는 황족 내부의 반란으로 조카에게 살해당했다.

요 세종은 재위 기간 동안 요나라를 봉건 사회로 이끌고 권력을 중앙 정부로 통합하는 여러 개혁을 단행했다. 그는 술을 좋아하고 사냥을 즐겼으며, 951년 9월 어느 밤, 태종의 사촌 야율차갈(耶律察割)이 쿠데타를 일으켜 33세의 세종과 정황후를 살해했다.

황하에서의 전투에서 승리한 후, 요 세종은 국내 반대파를 억누르고 황제에 즉위했다. 9월에 대동 원년을 천록 원년으로 개원하고, 야율옥질을 기용하여 정부 개혁을 추진했다. 태종 대의 남면관과 북면관을 합쳐 남북 추밀원을 성립시키고, 남왕 및 북왕을 폐지한 뒤 추밀원에 그 기능을 합쳤다. 이러한 개혁을 통해 요나라는 부족 연합에서 중앙 집권 체제로 전환했고, 이후 요나라 발전의 기초를 다졌다.

그러나 요 세종은 주색에 빠지고 수렵을 즐겼으며, 만년에는 간신을 등용하는 등 정치가 문란해졌다. 천록 5년, 북한을 지원하여 후주를 공격하고 돌아오는 길에, 상고산(현재의 후허하오터)에서 태조의 동생 안단의 아들인 찰할에게 암살당했다.

2. 3. 최후

요 세종은 재위 기간(947년 ~ 951년) 동안 요나라를 봉건 사회로 이끌고 권력을 중앙 정부로 통합하는 여러 개혁을 단행했다. 그러나 술을 좋아하고 사냥을 즐겼다. 951년 9월 어느 밤, 태종의 사촌 야율차갈(耶律察割)의 쿠데타로 33세의 나이로 시종 황제와 정황후는 살해당했다.

3. 가계

요 세종은 황후 2명과 후궁 2명을 두었다.

진 황후는 후당의 궁녀 출신으로, 야율지모(녕왕)을 낳았다.

회절황후 소씨는 술율평의 조카로, 이름은 사갈지(撒葛只)이다. 야율후아부(장성 황태자), 야율현, 소초리와 혼인한 진국 공주(화고전), 소하랄과 혼인한 진국 공주(관음), 소알리와 혼인한 맹고 공주(살랄)를 낳았다.

첩 췌리(啜里)와 첩 포가(浦哥)는 자녀가 없었다.

3. 1. 부모


  • 조부: 태조(太祖) 대성제(大聖皇帝) 야율아보기
  • 조모: 순흠황후 술율평
  • 부: 의종(義宗) 문헌제(文獻皇帝) 야율배
  • 모: 유정황후(柔貞皇后) 소씨

3. 2. 황후

봉호시호이름(성씨)재위년도생몰년도국구(장인/장모)비고
황후(皇后)견씨(甄氏)947년 ~ 951년? ~ 951년[2]
황후(皇后)회절황후
(懷節皇后)
소살갈지
(蕭撒葛只)
949년 ~ 951년? ~ 951년소아고지(蕭阿古只)[4]


3. 3. 후궁

요 세종의 후궁은 다음과 같다.

봉호이름(성씨)생몰년도비고
궁인(宮人)철리(啜里)? ~ 971년[5]
궁인(宮人)포가(浦哥)? ~ 971년[6]


3. 4. 황자

요 세종에게는 세 명의 아들이 있었다. 첫째 아들은 황태자 야율후아불(耶律吼阿不)로, 장성(莊聖)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나 요절하였다. 둘째 아들은 연왕 야율명의(耶律明扆)로, 훗날 경종으로 즉위하였다. 경종의 생모는 회절황후 소씨이다.[7] 셋째 아들은 영왕 야율지몰(耶律只沒)이며, 생모는 황후 진씨이다.

이름봉호시호생몰년도생모비고
야율후아불황태자장성회절황후 소씨요절
야율현연왕948년 ~ 982년회절황후 소씨제5대 황제
야율지몰영왕황후 진씨


3. 5. 황녀

순서봉호이름생몰년도생모부마비고
1진국장공주(秦國長公主)야율화고전(耶律和古典)회절황후 소씨소철리(蕭啜里)
2진국장공주(晉國長公主)야율관음(耶律觀音)회절황후 소씨소하랄(蕭夏剌)
3공주(公主)야율살랄(耶律撒剌)회절황후 소씨소알리(蕭斡里)
4공주(公主)야율맹고(耶律萌古)950년 ~ ?회절황후 소씨


4. 연호

연호원년2년3년4년5년
서력(西曆)947년948년949년950년951년
간지(干支)정미(丁未)무신(戊申)기유(己酉)경술(庚戌)신해(辛亥)
천록(天祿)원년2년3년4년5년


참조

[1] 서적 遼史 太祖本紀 919-01-29
[2] 문서 야율찰할의 반란으로 인한 암살
[3] 문서 효열황후
[4] 문서 야율찰할의 반란으로 인한 암살
[5] 문서 요 경종에 의한 사사
[6] 문서 요 경종에 의한 사사
[7] 문서 태평왕/제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